2020. 9. 7. 19:15ㆍ생활정보 수다떨기
무더운 여름에는 소금 섭취를 평소보다 많이 해라, 소금 섭취를 과다하게 하면 건강에 해롭다, 소금 섭취량을 줄이면 건강에 좋다. 등등 소금 섭취량에 대한 궁금증은 알쏭달쏭 하실텐데요. 오늘은 너무 많이 먹어도 안되고 그렇다고 우리 신체에 없어서도 안되는 소금에 대해 재미있게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사망원인으로서 소금중독이 알콜 의존증보다 비중이 더 높다는 것을 여러분은 알고 계셨나요? 그만큼 소금 유해성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요즘입니다. 오래전부터 사냥용 매를 길들일 때도 소금을 사용했고 길들여진 매는 소금 맛을 잊지 못해 주인에게 다시 돌아오는 것이라고 합니다.
○소금(SALT) 이란?
염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짠 맛이 나는 흰 결정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나트륨과 염소가 동일한 비율로 결합되어 있는 정입방체의 결정으로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무기질 중 하나이며,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 오랫동안 이용되어지고 있습니다.
○하루 소금 섭취량은 얼마나 먹는 것이 좋을까?
소금을 과하게 섭취하게 되면 건강에 해롭다는 사실이 많은 연구에서 확인되고 있지만, 생명 유지에 필수 성분인 나트륨은 주로 소금에서 얻게 됩니다. 그럼 과연 하루 소금 섭취 권장량은 어느정도 일까요? 소금 적정 섭취량은 1티스푼 정도로 하루 소금 섭취량 5g 이하(나트륨 2g)로 세계보건기구는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성인들은 점심 및 저녁시간을 외부에서 많이 보내기 때문에 MSG 등 화학조미료가 많이 함유된 음식들을 섭취하고 있어 소금 섭취권장량만큼만 먹는게 힘든 현실입니다.
○소금을 많이 먹으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저나트륨 소금은 일반소금보다 좋을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일반소금과 저나트륨 소금은 모두 안좋습니다. 나트륨 성분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원인이기 때문입니다. 나트륨을 뺀 대신 짠맛은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칼륨을 첨가한 저나트륨 소금은 오히려 신장실환이 있는 사람에게 고칼륨증으로 인하여 호흡 곤란, 근육 마비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는 천일염이 건강에 좋다고 하여 물에 타서 마시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우리 신체에는 추가로 섭취해야 할 정도로 미네랄이 부족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떤 종류의 소금을 섭취하는 것보다 소금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건강에 가장 이롭습니다. 그만큼 소금 섭취권장량을 최대한 지키도록 노력해야 겠습니다.
○소금(나트륨) 섭취를 줄이는 방법은?
소금 섭취권장량은 지키지 못해도 과다하게 섭취하지 않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보통 사람들은 하루 소금 섭취권장량보다 많은 소금을 섭취하고 있다는 사실! 그럼 노력해서 소금 섭취를 줄여야 되는데요.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식습관 개선이라는 것입니다.
1. 국물류 음식을 섭취할 때는 밥과 함께 말아먹지 말고 따로 따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대한민국 사람들의 식생활에 가장 밀접한 음식이 바로 국, 찌개, 탕 종류의 음식이기 때문입니다.
2. 국물류 음식을 먹을 때는 조금씩 떠서 밥에 비벼 먹게 되면 전체적인 국물 섭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아울러 국을 담는 국그릇을 밥공기와 비슷한 크기로 바꾸어 보는 것도 좋습니다.
3. 대한민국 밥상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김치인데요. 김치를 먹을 때는 잘게 썰어서 소량으로 먹는 습관이 좋습니다. 또한 김치를 담글 때 평소보다 싱겁게 담그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4. 음식을 섭취할 때 생채소류를 곁들어 식사하는 습관이 좋습니다. 체내에 흡수되는 나트륨 양을 조절해주며, 혈관기능 개선에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소금중독 자가진단법으로 알아보기!
오늘은 소금 섭취권장량과 소금 섭취에 대한 궁금증, 소금중독 자가진단법 등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무엇이든 지나치면 해롭다는 "과유불급" 이란 것을 말씀 드리고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생활정보 수다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에 좋은 음식 11가지 (0) | 2020.10.19 |
---|---|
향수 종류 4가지 (0) | 2020.09.30 |
스마트키 배터리 교체 및 판매처 한방정리! (0) | 2020.08.21 |
민생사법경찰단, 민생범죄 꼼짝마! 한방정리 (0) | 2020.08.19 |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발급방법 한방정리! (0) | 2020.08.13 |